본문 바로가기
상식

MRAB 감염 격리 기준 총정리 – 병원 격리 기간과 해제 조건은?

by 보통통3 2025. 5. 6.
반응형

“환자분이 MRAB 감염이 의심돼 격리실로 옮기셔야 할 것 같습니다.”

요양병원에서 부모님을 간병하던 60대 보호자 김씨는 이 말을 듣고 깜짝 놀랐습니다. ‘도대체 MRAB가 뭐길래 격리까지 해야 하나?’ 라는 생각이 들었죠.

MRAB(Multidrug-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)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세균입니다. 병원이나 요양원 같은 의료기관에서 주로 발생하며, 면역력이 약한 환자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격리 기준과 절차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

반응형

 


✅ MRAB 감염 격리 기준

MRAB 감염은 ‘접촉주의 격리(Contact Precaution)’ 대상입니다. 감염이 확진되면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격리 조치가 시행됩니다:

  • 격리실 배정: 1인실이 원칙이며, 동일 MRAB 환자끼리는 한 공간에 격리할 수 있습니다. 실제로 요양병원에서는 병실 부족으로 복수 감염자 코호트 격리를 시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.
  • 방문 제한: 격리된 환자는 가족 외 방문이 제한되며, 방문 시에도 장갑, 가운, 마스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.
  • 환자 이동 금지: 감염 환자의 외부 이동은 금지되며, 검사나 치료가 필요할 경우에도 철저한 보호장비 착용 후 이동하게 됩니다.

예를 들어, 폐렴으로 입원 중이던 환자가 MRAB 감염 판정을 받으면, 일반병실에서 즉시 격리병실로 이동됩니다. 보호자는 환자를 직접 만지지 못하고, 식사 전달도 간접적으로 하게 되죠.


반응형

 

⏳ 격리 기간과 해제 조건

‘언제쯤 격리에서 해제되나요?’ 보호자들이 가장 많이 묻는 질문입니다.

격리 해제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감염 부위에서 3회 연속 음성 판정
    예를 들어, 폐에서 MRAB가 나왔던 환자라면 같은 부위(객담 등)에서 최소 3회 이상 검체를 채취해 모두 음성이어야 합니다.
  • 검체 간격: 검사는 최소 3일 이상 간격을 두고 시행되며, 임의로 빠르게 진행할 수 없습니다.
  • 임상 증상 호전: 환자가 더 이상 열이 없고, 염증 수치가 감소했으며, 전반적인 컨디션이 호전되어야 합니다.
  • 면역 상태 고려: 고령 환자, 암환자처럼 면역이 약한 경우에는 음성 판정 이후에도 의료진 판단에 따라 추가 격리 기간을 둘 수 있습니다.

예시 상황:

70대 남성 A씨는 요로감염으로 MRAB 감염 진단을 받고 격리됐습니다. 이후 10일 간격으로 3번 검체를 채취했고, 모두 음성이 나와 3주 만에 격리 해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. 그러나 80대 여성 B씨는 폐 감염으로 MRAB 양성 판정을 받은 후에도 지속적인 객담 양성 소견이 나와, 5주 넘게 격리 상태가 유지되기도 했습니다.


반응형

 

🧼 감염 예방 수칙

병문안이 가능해졌다고 방심해서는 안 됩니다. 보호자와 의료진 모두 아래 사항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:

  • 손 소독: 병실 출입 전·후 손 소독은 필수입니다.
  • 보호장비 착용: 장갑, 마스크, 가운은 격리 환자 방문 시 반드시 착용해야 합니다.
  • 공용 물품 제한: 환자 식기, 물컵, 체온계 등은 개별 사용합니다.
  • 환경 소독: 병실 문고리, 침대 난간 등은 매일 소독해야 합니다.

👨‍⚕️ 보호자와 의료진을 위한 팁

  • 의료진과 수시 소통: 격리 진행 상황, 검사 일정 등을 꾸준히 확인하세요.
  • 정서적 안정: 격리로 인해 환자가 심리적으로 불안해질 수 있으므로, 전화나 영상통화 등을 활용해 정서적 교감을 유지하세요.
  • 재입원 대비: 퇴원 후 MRAB 감염 이력이 있으면, 다른 병원 입원 시 사전 통보가 필요합니다.


반응형

 

📌 마무리

MRAB 감염은 단순한 병이 아닌, 병원 내 전체의 감염 위험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. 하지만 격리 기준과 해제 조건을 정확히 이해하고, 의료진과 협력하면 불필요한 불안 없이 환자의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.

‘내 가족의 안전’뿐 아니라 ‘다른 환자의 건강’까지 생각한다면, MRAB 격리는 절대 과한 조치가 아닙니다. 적극적인 이해와 협조가 가장 큰 예방책입니다.

반응형